
급변하는 의공학분야 및 생물공학분야의 체계적인 교육 및 연구수행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공과대학 내 2개의 대학원 협동과정인 생물화학공학 전공과 의용생체공학 전공을 발전적으로 통합, 2007년 3월부터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 전공(Interdisciplinary Program of Bioengineering)이 새롭게 출범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자연과학 및 공학적 방법을 통한 인체 내 문제점의 정의, 분석, 해결과 생물반응기 설계 및 생물공정개발, 미생물-동물-식물 세포 배양에 의한 유용물질의 생산, 생물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관련 물질 및 환경오염 대체물질의 개발, 생물학적인 환경보전기술, 바이오센서 및 생명재료 공학기술, 생촉매 개발 및 응용, 생물질 분리-정제기술 등이 있다.
현재 화학생물공학부에서는 유영제, 김병기, 박태현, 이정학, 장정식, 윤제용, 백승렬, 한지숙 교수 등 총 8 명의 교수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1명의 행정직원(김행순, 880-7031)이 관련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바이오전자
- 의용생체 신호 해석론
- 바이오 맴스
- 생물전자기학
- 생체광학
- 바이오센서 및 계측공학
- 의료기기학/의학영상응용
바이오기계
- 의용계측
- 의학물리
- 생체현상에 대한 공학적 해석
- 생체이동 현상
- 마이크로머신 & 바이오로봇공학
- 재활공학
바이오정보학/시스템
- 컴퓨터 의학응용
- 의용생체 시스템 해석
- 의료정보 시스템 설계
- 생물 정보학과 응용
- 생물 네트워크에 이해
바이오재료
- 인공장기 특강
- 의용생체공학 특강
- 생물신소재와 조직공학
- 신경공학
- 생체모방학
- 나노바이오공학
바이오분자공학
- 응용미생물학/동물세포공학 특론
- 발효공학/단백질공학 특론
- 생체촉매기술/환경생물공학 특론
- 단백질 안정성 및 제제화
- 환경생물공학/유기생화학 특론
- 항체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