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및 환경

과학의 역사에서 20세기가 양자론과 상대성 이론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그 영향 아래 있었다면, 21세기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완결과 복제동물의 탄생에 힘입은 새로운 생명공학의 급속한 부상과 함께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건강한 삶은 바이오칩(DNA, 단백질 칩, 세포 칩, 신경 칩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방대한 정보에 의한 의약품 개발을 통해 이룩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의약품 생산을 위한 생체 분자의 기초 연구와 응용, 환경 친화적 생물공정 개발 및 인공장기 등의 개발은 건강한 인류 미래를 위해 필수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화학생물공학부에서는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공과대학에서는 유일하게 생명공학기술의 응용 및 산업화에 관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를 가능하게 한 현대 과학기술은 인류의 삶에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제공한 반면, 전대미문의 자연생태계 파괴라는 커다란 부작용 또한 초래했다. 환경공학은 바로 과학기술이 초래한 부작용에 대하여 과학기술이 스스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멤브레인과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식수의 정화 또는 공업용수의 처리, 새로운 흡착담체의 개발을 통한 산업폐수의 처리와 재이용, 공해가 없는 청정생산기술 공정의 개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 기술의 개발 등을 통하여 환경공학자들은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특정 지역이나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촌 전체의 중대한 공동 과제로 제기되고 있기에 환경공학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고도산화환원 환경공학 연구실

지도교수이창하홈페이지http://artlab.snu.ac.kr
위치302-612-1, 302-1008전화번호880-8629
연구내용

산업의 고도화 및 기후변화에 따라 환경문제가 전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실에서는 혁신적인 환경기술들을 개발하여 후세대에 보다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 아울러 미래의 환경산업을 선도하고자 한다.

고도산화환원 환경공학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산화/환원반응들을 통해서 수중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나아가 오염물질들로부터 유용자원 혹은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정화된 물을 재이용하는 기술들을 연구한다. 주요 관심분야로는 1) 수중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들의 물리/화학적 처리기술, 2) 병원성 미생물의 살균 및 조류 제어 기술, 3) 수처리용 공정 및 소재 개발, 4) 폐자원을 통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이 있다.

분자생물공학 및 생물 신소재 연구실

지도교수김병기홈페이지http://mbbl.snu.ac.kr/
위치302-613전화번호880-8945
연구내용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 및 공업용효소를 이용하여 유용한 생화학 물질(정밀화학물질, 단백질, 탄수화물, 대사물질 등을 중심으로)의 대량 생산을 꾀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 및 생리의 정량적 이해, 새로운 반응의 디자인, 반응기 개발 및 조업 최적화를 시도하고 있다. 대사공학기술, 유전체학, 단백체학, 생물정보학, 시스템 생물학 등의 새로운 기법을 활용하거나 컴퓨터 모델링 및 가상스크리닝 시스템 개발을 통해 신규 효소의 발굴과 효소반응의 예측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세포내의 단백질 양의 전체적 변화 및 단백질 번역 후 수식의 정량 및 정성적 분석을 통해 세포의 거동 및 유전자의 발현을 이해하는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분야와 조직 내의 탄수화물의 패턴을 정량, 정성분석 하는 글리코믹스(glycomics) 를 연구하고 있다. 질량분석기와 2D 전기영동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분포 및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 연구실

지도교수김병수홈페이지http://scte.snu.ac.kr
위치302-807전화번호880-1875
연구내용줄기세포와 조직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난치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술을 개발하고 인체의 손상된 조직을 복원 재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줄기세포는 인간의 여러 가지 장기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난치병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줄기세포의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공학과 약물 전달 기술이 융합될 수 있다. 현대의학 기술로는 심근경색,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등과같은 난치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완치시킬 수 없으나, 줄기세포, 조직공학, 약물전달에 대한연구는 이러한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치료술을 제시할 수 있다.

세포 및 미생물공학 연구실

지도교수박태현홈페이지http://biotech.snu.ac.kr
위치302-608전화번호880-1874
연구내용본 연구실에서는 산업, 의학적으로 유용한 생물학적 물질 및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미생물 및 동물세포 배양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는 바이오 및 나노 테크놀로지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 두 기술의 결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효과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이런 시대의 흐름으로 볼 때, 세포 및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나노 테크놀로지 기반연구 및 응용분야로의 확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실은 바이오와 나노 테크놀로지를 미생물 및 동물세포에 적용하여 인간의 삶에 유용한 물질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의약, 에너지, 환경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연구에 중점을 두고있다.

단백질 신소재 연구실

지도교수백승렬홈페이지http://apml.snu.ac.kr
위치302-218전화번호880-7414
연구내용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단백질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연구로부터 생명체의 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생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한 바이오 구조체를 응용하기 위한기술들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주된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광우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발견되는 현상인 아밀로이드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불용성의 단백질섬유 응집체인 아밀로이드와 올리고머 중간산물은 세포독성에 관여하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응집 현상 및 독성효과에 대한 제어책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생체 안정성이 뛰어난 아밀로이드 나노섬유를 생물신소재로 활용하고자 그 가능성을 타진 하고 있다.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

지도교수서상우홈페이지https://seolab.snu.ac.kr
위치302-711전화번호880-2280
연구내용본 연구실에서는 산업균주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다양한 합성생물학 기반의 균주 개량 기술을 개발하고, 또 이들 산업균주의 게놈 수준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시스템생물학 분석 기술을 개발한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의약품, 고부가 기능성 화학물질, 바이오연료, 바이오화합물 등의 생산에 이용할 수 있는 인공세포공장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 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시스템생물학 분석기술 및 합성생물학 조절 기술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산업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물환경∙에너지 공학 연구실

지도교수윤제용홈페이지http://env.snu.ac.kr
위치302-513전화번호880-8941
연구내용물환경∙에너지 공학 연구실은 지구가 당면하고 있는 물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화학과 에너지 기술기반으로 환경공학과의 융합기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크게 담수화 기술, 정수 기술 및 자원회수 기술로 나뉜다. 1) 담수화 기술은 전기화학적 탈염기술(Capacitive Deionization)과 막을 이용한 탈염기술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담수를 생산하면서 동시에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고, 2) 정수 기술은 물속의 유해 물질 처리 및 소독 등을 위한 전기화학적 산화제 생성을 연구함과 동시에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적정기술개발을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며, 3) 유가자원회수 기술은 에너지 공학 핵심 에너지 기술인 배터리 기술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려는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짐과 동시에 현재 환경 및 산업 분야에 큰 파급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융합연구를 통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자 한다.

생물 분자 공학 실험실

지도교수한지숙홈페이지http://biomolecule.snu.ac.kr
위치302-717전화번호880-9297
연구내용

환경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세포의 항상성 조절기작과 단백질 접힘(protein folding)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를 산업 및 의학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효모균을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영양상태와 스트레스 조건에 따른 신호전달과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재구성 과정을 연구하는 한편, 목질계 바이오 매스를 분해하여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단일바이오공정용 효모균주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단백질 접힘과 아밀로이드 형성 기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암, 염증, 퇴행성 신경질환 등 연관된 질병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체모방 재료 및 줄기세포 공학 연구실

지도교수황석연홈페이지http://bmsce.snu.ac.kr
위치302동 614호전화번호880-1882
연구내용

Research in Prof. Hwang’s laboratory is directed toward investigating how the engineered microenvironments direct the cell function and tissue regeneration. More specifically, we are interested in 1) general aspect of non-viral gene delivery strategies to generat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from somatic cells, 2) synthetic multiscale microfabrication technologies to control the fate and commitment of stem cells toward the desired tissues, 3) cell and molecular biology to study the mechanisms by which soluble and in-soluble signals are sensed by cells to modulate their cell fate determination. In addition, we desire to develop new bioactive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biomaterials-directed tissue rep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