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및 수상소식

언론보도

6년간 SCI논문 40편' 논문왕 대학원생-김희수씨

작성자
백승희
작성일
2008-09-10
조회
1771

'6년간 SCI논문 40편' 서울공대 대학원 화학생물공학부 김희수씨
화학생물공학부 김희수씨…"서울공대 졸업요건의 40배"

 



7c62f773-c040-11e6-a1a2-080027b832a1.jpg  서울대 공대 대학원생이 6년동안 과학기술논문색인(SCI)급 논문 40여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대 공대는 화학생물공학부 대학원 박사과정의 김희수(32) 연구원이 2002년부터 최근까지 관련 분야의 SCI급 논문 39편(제1저자 14편, 공저자 25편)을 발표해 온 사실이 최근 박사학위 예심 과정에서 알려졌다고 11일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번 학기에 SCI급 저널에 논문 3∼4편을 더 게재할 예정이어서 박사과정 3년 동안 그가 발표한 논문 수는 40편을 웃돌게 될 전망이다. 특히 본격적인 논문 생산이 박사과정인 2005년부터 최근 사이에 이뤄진 점을 감안하면 김 연구원은 줄잡아 연간 15편씩 논문을 발표한 셈이다. 

 

김 연구원이 전공한 분야는 정유제품 또는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촉매제 헤테로폴리산을 나노미터(㎚ㆍ10억분의 1m) 크기의 입자로 만들어 산화반응에 적용하는 연구다. 그의 연구는 나노보다 1천배 큰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규모로 존재하는 헤테로폴리산을 1∼2㎚ 크기의 분자상태로 고정화함으로써 헤테로폴리산의 촉매 효율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이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8개의 특허도 출원해 놓은 상태다.

 

김 연구원이 이처럼 논문을 다작(多作)하게 된 배경은 무엇보다 체계적인 연구ㆍ실험계획과 지도교수의 열정적인 지도 덕분.  그는 "하루 15시간씩 연구와 실험을 반복하는 것은 다른 공대 연구실도 마찬가지겠지만 기초 실험을 바탕으로 낸 아이디어의 대부분이 지도교수의 밀착 지도를 통해 연구 성과와 논문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지도교수인 송인규 교수(화학생물공학부)는 "서울대 공대의 박사과정 졸업 요건은 SCI급 논문 1편과 일반 국내논문 1편인데 김 연구원의 경우 이의 40배에 달하며 외국 최우수대학(10편 내외)의 졸업요건에 비해서도 괄목할 만한 수준이다. 내 연구실에서 배출될 첫 박사학위자가 이처럼 드문 연구 성과를 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 박사학위 예심을 통과해 내년 2월 박사학위를 받게 되며, 졸업 후에는 그에게 산학협력 장학 프로그램을 제공해 준 SK에너지㈜에 입사해 연구원의 길을 걸을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논문왕 대학원생
서울대 박사과정 김희수씨 SCI 논문 3년새 40편 발표 대학원 졸업기준 40배 쓴 셈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항상 연구실에 있었죠. 논문 아이디어가 생각날 때마다 연습장에 꼬박꼬박 기록했어요.”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대학원 박사과정의 김희수(32) 연구원이 과학기술논문색인(SCI)급 논문을 벌써 39편(제1저자 14편·공저자 25편)이나 발표해 화제다. 이번 학기에 쓸 논문까지 합하면 40편을 넘어선다.

 

지도교수인 송인규 교수(화학생물공학부)는 “서울대 공대의 박사과정 졸업 요건은 SCI급 논문 1편과 일반 국내논문 1편인데 김 연구원의 경우 이의 40배를 발표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논문 생산이 박사과정인 2005년부터 이뤄진 점을 감안하면 김 연구원은 연간 15편 꼴로 논문을 발표한 셈이다. 그는 자신이 쓴 논문을 바탕으로 이미 8개의 특허도 출원해 놓은 상태다.

 

2002년 동국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대학원에 입학한 김 연구원의 전공 분야는 촉매제다. 정유제품 또는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촉매제를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입자로 만드는 연구다.  송교수는 “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산업에 응용 가능한가의 여부인데, 김 연구원이 개발한 나노 촉매제는 실제 산업공정에서 바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현재 박사학위 예심과정을 밟고 있는 그는 예심을 통과하면 내년 2월 박사학위를 받게된다.

 

(조선일보) 김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