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THE FOUR BLESSED LOOKS/영어의 'God'에 해당하는 우리말

작성자
최창균
작성일
2010-10-21
조회
248

THE FOUR BLESSED LOOKS

    Look back      and      Thank God.

    Look forward  and      Trust God.

    Look around   and      Serve God.

    Look within     and      Find God!

"I asked God, 'How do I get the best out of life? '

  God said,

    'Face your past without regrets.
    Handle your present with confidence.
    Prepare for the future without fear!'"

Without God, our week is:

    Mournday,  

    Tearsday,  

    Wasteday,  

    Thirstday,  

    Fightday,  

    Shatterday  and  

    Sinday.

So, "allow Him to be with you every day!

  Life is short,
  So forgive quickly.  
  Believe slowly.  
  Love truly.  
  Laugh uncontrollably.  

Never regret anything that makes you happy.  
And have a wonderful journey!!!"



Hak N Kim (김학래; 재미, 최창균의 화공과 3년 선배)
HNKim610@Hotmail.com


======================================================================================



영어의 'God'에 해당하는 우리말
날짜  2006-08-23 16:16:00
작성자  김선철



경선호 님께서 8월 23일 국립국어원과 가나다 전화에 문의하신 바에 대한 답입니다.
본인께서 게시판에 답글을 올려 달라고 희망하셨기에 부득이하게 이곳에 글을 남깁니다.
--------------------------------------------------------------------------------------

1. '하느님'과 '하나님'의 유래:

어느 민족이나 문화권에도 창조주를 가리키는 표현이 있습니다. 우리 민족의 경우에는 그 창조주가 '하늘'에 존재한다고 보았고, 그래서 '하늘의 신'이라는 뜻을 가진 말인 ‘하+ㄴ+아래아(.)+님’이 쓰였습니다. 이것은 '하+ㄴ+아래아(.)+ㄹ(현대 국어로 '하늘')#님’이 결합되면서 'ㄹ'이 떨어진 말입니다. 그러던 것이 ‘아래아(.)’의 소멸과 변화로 인해 ‘하느님’ 또는 ‘하나님’이 되었습니다. 즉 '하나님'과 '하느님'은 모양만 약간 다른 같은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 '공부하다'와 '공부허다'가 입말에서 같은 말인 것과 동일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하느님'과 '하나님'의 분포:

그렇지만 실제로는 '하느님'이 '하나님'보다 더 많이 쓰였던 것 같습니다. 즉 우리말에서 종교에 구애받지 않을 때는 '하느님'을 더 많이 사용하여 창조주를 지칭했었고, 상대적으로 덜 쓰인 '하나님'은 기독교 신교에서 유일신을 뜻하는 말로 사용해왔습니다. 기독교 구교에서는 전통적인 우리말 중 다수형인 '하느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 '하늘님'에 대하여:

경선호 선생님께서는 종교적 갈등의 소지가 있는 용어인 '하느님'과 '하나님'을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좋겠다는 좋은 취지로써 '하늘님'을 제안하셨습니다. 그런데 저희 국립국어원에 제안하신 점은 매우 고맙습니다만, 크게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한 가지는 '하늘님'이 '하늘'을 의인화해서 '님'을 붙이는 경우와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른 한 가지는 국립국어원이 국가기관이지만 종교계의 용어에 대한 지시나 간섭을 하는 것은 부당하게 비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종교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교간 용어의 통일은 종교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보이며, 필요한 때에 국가에서 중재할 수는 있지만 국가가 강제적으로 주도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4. 영어에서는 유일신을 가리키는 용어가 한 가지인데 국어는 두 가지 이상인 것은 언어학적으로는 이상한 일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동의어 현상은 어느 언어에서나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