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과정 졸업(수료) 이수학점 기준(2008학번 이후)
대학/학부 |
졸업(수료)
학점 |
교양학점 |
주전공 학점 |
복수전공
학점 |
부전공
학점 |
평점 |
---|
단일전공이수
|
다른 전공
병행 이수 |
---|
공과대학 |
화학생물
공학부 |
130 |
학번별 상이
교양필수 과목 이수
|
62 |
39 |
39 |
24 |
2.0 |
※ 이수학점 기준 해설
- 단일전공 이수 : 소속 학생이 주전공 하나만을 이수할 경우의 주전공 이수학점 수
- 다른 전공 병행 이수 : 소속 학생이 주전공 외에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연계전공 중 한 개 이상을 병행하여 이수할 경우의 주전공 이수학점 수
- 복수전공, 부전공 학점 : 타 학과(부) 학생의 화학생물공학부 복수전공, 부전공 이수학점 수
상기 이수 학점 기준은 2008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하며, 2007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종전의 이수 학점 기준에 의하여 이수하되 학생의 희망에 따라 새로운 이수 학점 기준으로 이수할 수 있음.[새로운 전공이수 제도에 대한 공과대학 방침(제7차 학부(과)장회의 결정사항, 2008. 7. 9)]
화학생물공학부 전공이수 규정
- 본 학부 학생이 단일전공(화학생물공학만) 택할 경우 학부에서 정한 전공교과과정 표준이수형태(학부홈페이지>학사행정>교과과정>학번별 표준이수형태)를 따르고 전공 62학점을 이수
- 본 학부 학생이 타 전공을 병행으로 이수 할 경우 본 학부의 전공학점을 39학점 이상 이수하고(하단 표), 타 학부(과)에서 정하는 필요학점 이수
- 타 전공을 병행함을 이유로 본 학부의 전공학점을 39학점만 이수하고, 후에 학생 사정으로 타전공 병행을 취소할 경우 본 학부 졸업이수규정학점인 62학점을 미이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졸업대상자에서 제외되며 모든 책임은 학생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타 전공을 병행으로 할 경우 주전공 이수규정(~2017학번)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458.101A |
화학생물공학입문
(2018년 폐지, 대체과목-화학생물공학개론)
|
3 |
458.201 |
물리화학 1 |
3 |
458.202 |
물리화학 2* |
3 |
458.203 |
공학생물 |
3 |
458.204 |
유기화학 1 |
3 |
458.205 |
공정전산기초*
(2020년 현, 물질 및 에너지 수지)
|
3 |
458.301 |
유기화학 2 |
3 |
458.302 |
응용생화학
(2020년 현, 응용생화학 1)
|
3 |
458.303 |
반응공학 1 |
3 |
458.304 |
열및물질전달 |
3 |
458.305 |
공정유체역학 |
3 |
458.308 |
공정제어및설계* |
3 |
458.309A |
분석화학* |
3 |
458.206 |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 |
2 |
458.306 |
화학생물합성실험 |
2 |
458.307 |
화학생물공정실험 |
2 |
이수 학점 |
총 39 학점 |
---|
* 4 과목 중 2 과목 선택(6학점)
타 전공을 병행으로 할 경우 주전공 이수규정(2018학번~)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458.201 |
물리화학 1 |
3 |
458.202 |
물리화학 2* |
3 |
458.203 |
공학생물 |
3 |
458.204 |
유기화학 1 |
3 |
M1587.000300
|
물질 및 에너지 수지*
|
3 |
458.301 |
유기화학 2 |
3 |
M1587.000200
|
응용생화학 1 |
3 |
M1587.000100 |
응용생화학 2 |
3 |
458.303 |
반응공학 1 |
3 |
458.304 |
열및물질전달 |
3 |
458.305 |
공정유체역학 |
3 |
458.308 |
공정제어및설계* |
3 |
458.309A |
분석화학* |
3 |
458.206 |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 |
2 |
458.306 |
화학생물합성실험 |
2 |
458.307 |
화학생물공정실험 |
2 |
이수 학점 |
총 39 학점 |
---|
* 4 과목 중 2 과목 선택(6학점)